객체 리터럴 let uset = { name : 'Mike', age : 30, } 생성자 함수 function User(name, age){ // 생성자의 첫글자는 대문자로 this.name = name; this.age = age; } let user1 = new User('Mike',20) let user2 = new User('Jane',22) let user3 = new User('Tom',19) //new 연산자를 사용해서 호출 생성자 동작 방식 function User(name,age){ //1. //this = {} //this에 프로퍼티를 추가 this.name = name; this.age = age; //2. //return this; //실제로 주석에 있는 코드는 눈에 보이지 않지만..
호이스팅 : 스코프 내부 어디서든 변수 선언은 최상위에 선언된 것 처럼 행동 console.log(name); // TDZ const name ="Mike"; // 함수 선언 및 할당 consol.lo(name); //사용가능 호이스팅은 스코프 단위로 일어남 let age = 30; function showAge(){ consol.log(age); let age = 20; // tdz } showAge(); //30 변수의 생성과정 var 선언 및 초기화 단계 할당 단계 const 선언 + 초기화 + 할당 let 선언 단계 초기화 단계 할당 단계 let name; name = 'Mike'; var age; age = 30; const gender; gender = 'male'; //신택스 에러 발생, 선..
평소에 얼마나 자바스크립트에 관심이 없었고 이해도가 낮았는지 깨닫는 나날 속에 잊지 않기 위해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키보드에서 억음부호 ` 의 위치는 키보드 ESC아래 물결표를 쉬프트 없이 누르면 나오는데요. 영문 명칭으로는 backquote,backtick,grave accent 등 다양한 이름이 있다고 하고, 한국어로는 억음부호 라고 합니다! 저처럼 기존에 작은따옴표와 큰따옴표를 사용하여 작업하셨던 분들에겐 생소할 수 있을 거 같은데요. 백틱(`)을 사용하여 문자열을 표현하는 것을 '템플릿 리터럴'이라고 합니다. 템플릿 리터럴은 이중 따옴표나 작은따옴표 대신 백틱 (` `)을 이용하며 플레이스 홀더를 이용해 표현식을 넣을 수 있고, 여기서 플레이스 홀더란 ( $ {ex} )로 표기하며 플레이스 홀더 ..
.net 프로젝트 작업 중 js 모듈을 처음 사용할 일이 생겼습니다. js를 만들고 export 함수를 사용하여 테스트 중 유독 한글이 깨지는 상황이 발생해 1시간 정도 삽질 하다가 해결한 방법을 공유합니다. [상황] 프로젝트 내에 먼저 만들어진 js 파일의 인코딩을 확인합니다. [해결] 한글이 깨지는 js 파일 -> 오른쪽 마우스 클릭 -> 편집 -> 하단 인코딩 확인 후 변경 -> 다른 이름으로 저장 프로젝트를 다시 빌드하거나 강제 새로고침 하여 다시 테스트 했을 때 한글 깨짐을 해결할 수 있었습니다.
퍼블리셔에게 html 파일을 받아서 작업하거나, 또는 공부 목적으로 html을 작성하시다가 button 태그를 사용하면 새로고침 / reload 되는 현상을 겪으실 수 있으십니다. [상황] Click 위 코드에서 보시면 button 태그에 타입이 지정되어 있지 않은데, 타입이 지정되지 않으면 기본 값은 submit 입니다. 그래서 타입을 지정하지 않고 사용하면 새로고침 되는 현상이 나타나는데요, [해결 1] Click [해결 2] Click 상황에 맞게 사용하시면 되겠습니다!! 제가 소요했던 검색 시간보다 지금 보시는 분의 검색 시간은 조금이라도 단축되었길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개인적으로 스프링 공부를 하던 중 구동 에러가 발생하여 다음에는 더 수월하게 수정할 수 있도록 포스팅합니다. 소스를 잘 만드시고 Run 하셨을 때 아래와 같은 에러가 나오실 수 있으십니다. Description: Web server failed to start. Port 1611 was already in use. Action: Identify and stop the process that's listening on port 1611 or configure this application to listen on another port. 당황하지 마시고 커멘드 창에서 netstat 명령어 실행 사용하셨던 port의 pid를 외워주시고 taskkill /pid 1611 /f 다시 스프링으로 돌아가셔서 실행하시..
netstat 명령어는 프로토콜 통계와 현재 TCP/IP 네트워크 연결을 볼 수 있는 명령어입니다. 커멘드창에서 netstat /? 명령어를 입력하면 실행이 되지만, 저처럼 CMD창이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의 시간을 아끼기 위해 포스팅합니다. 30분 가까이 삽질하다가 겨우 이거 때문에 잘 돌아가는 모습을 보고 탄식이 절로 나왔습니다. 제 블로그에 오시기 전에 많은 웹 사이트에서 답을 찾으려고 하셨겠지만, 제가 실수했던 부분은 아래 사진과 같습니다. 명령어 실행 위치가 잘못돼있어서 실행이 안 되는 상황이었네요. 이 글을 보시는 여러분은 꼭 소중한 시간을 아낄 수 있기를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